반응형

RF 7

Ublox calibration, soure measurements

참고 : u-blox 8 / u-blox M8 Receiver description - Manual Oscillator Calibration 이란?Oscillator를 disciplining을 하기 위해서는 SMGR은 disciplined oscillator frequency control gain과 initial frequency offset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Oscillator의 gain은 같은 회사에서 생산하더라도, 크리스털 고유 특성 때문에 각각 다르다. Ublox는 calibration 과정으로 gain slope를 측정한다. Calibration 기능이 수행되면 Osc를 disciplining하는 동작이 중지되며, 이 때 OSC가 출력하는 신호는 사용할 수 없다. Calibration ..

RF 2025.05.30

Ublox SMGR(Sync Manger)란 ?

참고 : u-blox 8 / u-blox M8 Receiver description - Manual SMGR은 ublox LEA-M8f은 time, frequency 동기를 수행한다. SMGR은 내부/외부 osc의 phase와 frequency를 측정하여 내/외부 osc의 동기를 맞추는데 필요한 값을( ex. 주파수 변화량) 결정한다. 외부 source를 기준으로 내/외부 osc를 조정하여, 내/외부 osc의 동기를 외부 source에 맞추는 과정을 disciplining이라한다. Disciplining 과정중에 출력하는 Time pulse/주파수의 uncertainty를 도출한다. SMGR이 disciplining에 이용할 source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GNSS 2. Int o..

RF 2025.05.28

Ublox lea-m8f가 제공하는 Oscillator synchronization 구성도

본 글은 Ublox lea-m8f가 oscillator를 어떻게 동기화 하며, 그 구성도에 대해 정리하였다. 3가지 형태로 정리하였다. Ublox lea-m8f는 ublox사의 GPSDO 제품으로 내부에 30.72MHHz VCTCXO(internal osc)를 가지고 있다. GNSS 신호를 수신하면 GNSS 신호를 source로 하여, 내부 VCTCXO를 GNSS 신호에 맞추어 Time sync, Freq sync를 맞추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lea-m8f 외부에 주파수원(osc)를 연결하면 2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을 설명하기에 앞서 용어정리를 한다. osc : Oscillatorinternal osc : lea-m8f 내부 30.72MHz VCTCXO external osc ..

RF 2025.05.25

왜 RF 시스템의 임피던스는 50옴 또는 75옴인가 ?

출처 : Selecting the Right Transmission Line Impedance | DigiKey     1929년 Lloyd Espenscheid와 Herman Affel라는 두 사람이 4MHz 신호를 전송용 전송선을 제작하려 했다. 전송선의 목표는 - 신호 전송시 낮은 전력 감쇄- 높은 전압 전송- 높은 전력 전송을 만족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3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케이블은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전송선의 특성임피던스를 변경하면서, 전력의 감쇄정도, 전송 전압의 크기, 전력의 전달 정도를 평가하였다.  1. 전송전력의 감쇄전력의 감쇄는 전송선의 유전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유전체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유전체를 공기로 한정하고 특성임피던스를 변경하면서 신호의 감쇄 정..

RF 2024.08.18

75옴 케이블을 50옴 커넥터에 연결하면 손실은 어떠한가?

- 75옴(Zo) 케이블을 50옴(ZL) 커넥터에 연결하면 반사계수는 얼마인가?  입사전압과 반사전압의 비율은 0.2이다. - 입력된 전력을 기준으로 얼만큼의 전력이 반사되는 것인가?이것을 알려주는 지표가 S11,return loss이다.     - 반사계수와 S11 의 관계는  75옴 케이블과 50옴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 입력한 전력 중  4/100만큼이 반사된다는 말이다.ex) 0dBm을 입력했다면, -14dBm이 반사된다. - return loss => S11 입력한 전력 중 4/100만큼이 반사되어, 부하에 전달 해야 할 전력에 손실이 일어났다. 반사(return)된 전력이 얼만 큼 인지 나타내는 지표return loss를 한국어로 표현한 것이 반사 손실이다.  -insertion loss =>..

RF 2024.08.17